산 이야기.

국립공원 사망 사고 절반이 북한산.

mountainhoo 2007. 2. 7. 21:07
  •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이 북한산
  • 가파른 바위 함부로 타지 마세요
  • 정철환기자 plomat@chosun.com
    한 해 700만명이 찾는 북한산 국립공원. 찾는 사람이 많은 만큼 사고도 잦았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올해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를 종합해 보니 전체
    34건 중 44%에 이르는 15건이 북한산에서 일어났다. 가장 중요한 사고 원인은
    암릉(가파른 바위가 노출된 능선)을 오르다 발생한 실족사(失足死)로 10건이나 됐다.
    국립공원 전체 실족사(13건)의 77%다. 또 등반 도중 심장마비나 고혈압으로 숨진
    사람도 4명에 이른다. 실족으로 인한 사망 사고는 염초봉 인근에서 4건, 향로봉과
    만경대 부근에서 2건씩, 또 백운대와 인수봉 근처에서도 발생했다.
    • 북한산
    특히 만경대에선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에 총 22명이 실족·추락해 이 중 절반에
    가까운 10명이 숨졌다. 같은 기간 염초봉과 향로봉, 인수봉에서는 100명이 사고를
    당해 이중 20명이 사망했다. 이들 구간은 모두 등산로 주변에 깎아지른 듯한 암릉이
    펼쳐져 있어 북한산 국립공원 내에서도 ‘등반 위험구간’으로 특별 관리되는 곳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측은 “공원 입구부터 ‘암릉을 타지 말라’고 신신당부하지만,
    일반 등산객들이 괜한 객기를 부리다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 등반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탐방로 바깥으로 나가는 행동은 일절 삼가 달라”고 당부했다.
  • ㅡ겨울산행....(초보자에게 당부)

    겨울산행은 어렵고 힘드는 만큼 매력적 이기도 하다.
    하얀 눈으로 덮인 그 은백의 세계를 걸어보는것은
    정말이지 멋진 일이다. 하지만 그만큼 또 준비를 철저히
    잘 해야 한다.
    시간이 된다면 등산 관련 사이트나 또는 관련서적들을
    찾아보시길 권해 드리고 싶다. 겨울 산행뿐만 아니라 산행에
    관한 전반적인 상식들이 많이 게재되어 있을테니까.
    그렇게 깊이 알지 않아도 산행에 큰 무리는 없겠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알고는다녀야 산행이 그만큼즐겁고 또 고생을 덜
    하게 되리라 생각하여 드리는 말씀이다.
    겨울산행 준비는 그 산행의 성격에 따라 많이 달라
    지겠지만 여기서는 그저 일반적인 당일 산행을 기준하여
    얘기할까 한다.
    첫째는 체력이다. 겨울산행, 특히 심설산행 (적설기 산행)은
    많은 체력을 요구한다. 체력은 곧 칼로리다. 산행은 먹은만큼
    간다는 말도 있듯이 이 칼로리가 필수이다.
    무슨 얘기인고 하니 행동식을 넉넉하게 준비하여 산행중에
    수시로 먹으라는 얘기다. 체력만 넉넉하면 웬만한 추위에도
    끄떡없다.
    체력은 배낭무게 와도 관련이 있는 일이니 불필요한것들을
    최대한 줄여서 무게와 부피를 줄이는 노력도 필요할것 이다.
    그렇다고해서 필요한것들 까지 다 빼면 곤란하고...^^
    두 번째는 보온이다. 적절한 체온을 유지할수 있는 의상을
    잘 준비하여 산행에 임하라는 얘기다. 혹자는 보온 등산복
    이라하면 그저 두툼한 다운파카를 떠 올릴지도 모르겠으나
    그보다는 좀 얇더라도 여러겹 껴입을수 있으면 그 종류에
    크게 상관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얇은옷을 여려겹 껴입고 산행에 임한다면 더워서
    땀이 난다면 벗어 배낭에 갈무리 할수도 있고 또 추우면
    다시 입으면 되니 여러모로 편리하다. 두터운 옷들은 부피가
    커서 배낭이 커야하니 조금 번거로울수도 있다.
    그렇다고해서 그런 두터운 보온의상은 좋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다. 굳이 그런 등산복이 아니어도 겨울산행에 임할수
    있다는 얘기다.
    나는 두툼한 다운 파카가 있어도 이걸 입고 산에 가본일이
    거의 없다. 늘 얇은 옷으로 준비를 해 간다. 입고 벗기가
    간편하고 접으면 부피가 작어서 작은 배낭에 갈무리 하기도
    편해서이다.
    그리고 추위를 가장 많이 느끼는 부위는 얼굴인데 요즘은
    얼굴과 귀를 한꺼번에 감쌀수있는 용품이 나와있는것을
    봤다. 예전에는 복면모라 불리는 발라클라바가 있었지만
    호흡하기가 불편하고 많이 답답했다. 이런것 하나정도를
    준비해두면 겨울산행에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
    이런것들만 신경을 써서 준비를제대로해도 겨울 산행에
    큰 무리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무슨 아이젠 이니 등산화니
    양말이니 하는 얘기는 다 아실 얘기니 생략하기로 하고...
    사실 이런 얘기들도 요즘은 웬만한 초보자들도 다 알고있는
    내용들 일것이다. 또 공연한 얘기를 해서 초보자님들이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건 아닌지 모르겠다.
    이렇게 하여 오늘도 심심풀이 땅콩으로 뱀다리를 하나
    그려보게 되었다는....^^

    ㅡ산 사고, 왜....얼마나 날까?

    산악사고 사망 '체력 과신' 남성이 91%…사망자
    45%는 급·만성질환 탓

    무리하지 말아야…수도권 추락 사고 많고 지리산
    실종자 찾기 어려워

    등산만큼 건강에 좋고 경제적인 운동도 드물다. 그러다 보니 주말이면 전국의 산들은 등산객들로 몸살을 앓는다. 하지만 자칫 방심하다간 대형 사고로 연결되기 십상인 게 바로 산행이다. 산이라고 해서 모두 똑 같은 산은 아니다. 나름대로 개성과 특징이 분명하다. 산악사고가 빈발하는 산이 따로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내가 즐겨 찾는 산은 도대체 얼마나 위험한 것일까?
    한국일보 기획취재팀은 작년 1년 동안 119에 접수된 산악사고 4,397건을 정밀 분석했다. 국내 언론 사상 최초의 시도였다. 그 결과 몇 가지 눈에 띄는 특징이 발견됐다.
    우선 산악사고 사망자 110명 중 남성이 90.9%(100명)에 달한다는 점이다. 산악사고를 당한 남녀 비율이 각각 58.2%(2,560명)와 41.8%(1,837건)라는 점을 감안하면 남성 사망자가 유독 많은 편이다.
    사고원인별 분석에서 급ㆍ만성질환으로 구조요청을 한 20대가 30.9%나 되는 점도 의외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남성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자신의 체력과 능력을 과신하다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산을 이기려 하지 말고 즐기라’는 산악인들의 고언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등산객을 위협하는 가장 큰 적은 ‘무리한 산행’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의견이다. 실제 지난해 산악사고 사망자 110명 가운데 44.5%(49명)가 급ㆍ만성질환으로 숨졌다. 남원소방서 산악구조대 관계자는 “무리한 산행을 하다 보면 잠복해 있던 심장질환이 재발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가장 체력이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움직여야 한다”며 “사고에 대비해 주요 길목에 설치된 위치표지판 번호를 숙지하고,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은 혈관확장제를 준비하는 게 좋다”고 당부했다.
    ●강원-만성질환자 설악산ㆍ치악산 피해야
    설악산에서 발생하는 산악사고의 주원인은 급ㆍ만성질환(41.5%)으로 조사됐다. 사망자 5명 가운데 3명이 뇌출혈과 심장마비로 숨졌다. 사고가 가장 빈발한 지점은 봉정암 부근(23건)이었다. 특히 사망자 3명은 모두 봉정암 인근에서 사고를 당했다.
    치악산의 경우 전체 사고 22건 중 45.5%(10건)가 추락이었다. 특히 중상자 발생사건(3건)은 모두 추락이 원인이었다. 사고 다발지역은 사다리 병창(4건). 이 곳에선 2명이 심장마비로 숨졌다. 오대산 자락에 위치한 소금강에선 등산로 이탈 및 실종사건(7건)이 전체(17건)의 41.2%나 됐다. 태백산 반재~만경사 구간에선 24건의 산악사고가 발생했고, 이 중 15건이 발을 헛디뎌 발목 등이 골절된 사고였다. 강원지역 산들은 골이 깊다 보니 오대산(3시간26분), 치악산(3시간20분), 소금강(3시간20분), 가리왕산(3시간14분), 설악산(2시간59분) 등 평균 구조시간이 2시간을 넘는 경우가 흔했다.
    ●서울ㆍ경기 - 북한산ㆍ관악산ㆍ운악산 추락사고 많아
    수도권지역 산에선 유독 추락사고가 많았다. 고산준령보다는 완만한 산들이 많은 지역임을 감안하면 다소 의외의 결과다. 불암산은 전체 산악사고 38건 중 60.5%(23건)가 추락이었다. 수락산(48.5%), 북한산(50.5%), 관악산(31.7%), 도봉산(55.7%), 운악산(44.4%), 원도봉산(40.9%)도 추락사고 비중이 높았다. 반면 검단산(32.4%)과 남한산성(20.9%)은 급ㆍ만성질환 사고가 가장 많았다.
    경기 가평 운악산은 작년 한해 3명이 숨졌는데, 모두 정상 부근의 바위에서 추락한 경우였다. 남한산성에선 3건의 사망사고 중 2건이 자살이었다. 관악산은 촛대바위, 연주대, 국기봉, 제1약수터 인근에서, 북한산은 의상대, 원효봉 등지에서 사고가 잦았다.
    평균 구조시간은 북한산, 관악산 등 대부분의 산이 전체 평균(2시간)을 넘지 않았다. 하지만 소방서와 떨어져 있는 운악산(2시간50분), 원도봉산(3시간12분), 용문산(5시간) 등은 사고 등산객 구조에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특히 용문산은 지난해 2월 길을 잃은 40대 남성이 22시간40분만에 구조되는 등 실종자 구조에 평균 7시간4분이 걸렸다.
    ●충청ㆍ영남 - 소백산 비로봉이 가장 위험
    충북 단양과 경북 영주 경계에 있는 소백산에서 가장 위험한 곳은 비로봉이었다. 이 곳에선 총 23건의 사고가 발생했고, 이 중 3명이 심장질환으로 숨졌다. 이어 연화봉(10건), 도솔봉(6건), 국망봉(6건) 등지가 요주의 지점으로 확인됐다.
    계룡산은 남매탑과 금잔디고개, 연화봉, 동학사 인근이, 속리산은 경협대, 보현제, 비로산장 주변이 사고 빈발지역이었다. ‘영남 알프스’로 불리는 신불산에선 칼바위와 정상 인근이 위험지역으로 꼽혔다. 대구 팔공산의 경우 등산로 이탈이 전체 사고의 47.5%로 가장 많았다. 국립공원인 주왕산과 월악산, 가야산은 의의로 사고가 거의 없었다.
    평균 구조시간은 소백산이 3시간2분으로 전체 평균보다 1시간 가량 길었다. 산이 높고 깊은데다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포항 내연산(3시간10분), 신불산(2시간41분), 팔공산(2시간14분) 등 도심과 가까운 산들도 전체 평균을 웃돌아 구조체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호남ㆍ제주 - 지리산 피아골 사고 최다
    지리산에선 전체의 38.1%(64건)가 급ㆍ만성질환 사고였다. 사고가 잦은 지점은 피아골(17건), 노고단(15건), 뱀사골(15건), 한신계곡(12건), 참샘(11건), 백무동 계곡(10건) 등이었다. 지리산은 지역이 넓고 험해 평균 구조시간이 3시간을 넘었다. 특히 실종자 구조에는 무려 7시간17분이 걸리기 때문에 지병이 있는 환자는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덕유산의 경우 남덕유산 능선(9건)과 향적봉(8건), 내장산은 서래봉(6건), 무등산은 중머리재(14건) 인근이 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한라산에선 물찬오름과 장구목 계곡에서 길을 잃은 등산객이 많았다. 평균 구조시간은 덕유산이 3시간14분으로 긴 편이었다.
    (오늘자 한국일보 에서...]

    ㅡ조난에 대하여....

    (* 먼저 산행 고수분들은 이 글 보시지 말고 그냥 지나쳐
    주시길 당부 드립니다. 이 들은 저와같은 초보급 산꾼들을
    위한 내용들이라 고수분들께는 전혀 해당이 없습니다.^^ )

    보통 조난 이라고 하면 많이 다쳤거나 큰 위기에 직면한 상황을
    연상하기 쉬운데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산(山) 에서의 조난은
    말 그대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을때 그게 바로 조난이다.
    만날조(遭)자 에 어려울 난(難)자가 모여 만들어진 단어가
    아닌가!

    절벽 같은데서 떨어져 크게 다친것도 조난이요, 산행중에 기운이
    다하여 주저 앉은것도 따지고 보면 같은 조난이다. 식수가 부족
    하다거나 또는 먹을게 떨어진 상황도 조난이요, 또 가다가 날이
    저물었다거나 갑작스런 기상 악화에 미쳐 대비하지 못한 상황도
    역시 조난의 범주에 속한다.

    산속에서 이런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을때는 일단 침착해야
    한다. 차분히 자신이 취할수 있는 모든 상황을 생각해 보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면 된다. 지나는 산꾼이 보이면 도움을
    청할수도 있을것 이고 그게 여의치 못하면 휴대폰 으로 일단
    조난신고를 할 수도 있을것 이다. 그 지역의 지역번호에 119 를
    눌러 신고하면 된다. 하지만 휴대폰이 터지지 않는 지역이라면
    이것도 기대할 수가 없을것 이다.

    특별한 산행코스, 즉 평소엔 물론이고 주말이나 휴일에도 거의
    인적이 없는 코스라면 더욱 난감하게 될것이다. 기운이 없어
    잠시 쉬면 회복이 될수있는 그런 가벼운 조난 이라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산중에서 큰 눈을 만나 오도가도 못할 그런 상황에
    빠졌다면 그래서 다니는 사람마져도 없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이런때는 우선 식수부터 챙겨야 한다. 주위를 잘 찾아서 식수를
    구하도록 해야할것 이다. 그 다음은 식량 문제... 가지고 있는
    모든 식량을 최대한 아껴 먹으며 버텨야 한다. 물론 쓸데없는
    운동은 줄여서 칼로리 소모를 막아야 할것이고....

    그리고 체온 문제...가지고 있는 모든 옷을 이용하여 체온은
    유지 토록하는게 중요하다. 그 지역에 대하여 잘 알고 있어
    가까이에서 사찰이나 암자를 찾아갈수 있다면 그건 행운일게다.

    실제로 후배 한명은 오래전에 설악산에서 큰 눈을 만나 근
    일주일 정도 갇혀 있다가 나온적이 있었는데 암자 덕을 톡톡히
    봤다고 한다. 암자의 지붕에까지 눈이 수북히 덮여 화장실을
    갈때는 눈속으로 터널을 파서 그 터널로 다녔다고 하니 오죽
    눈이 많이 왔겠는가!... 그 암자 이름은 오세암 이다.

    예전에 한창 홀로 설악산을 다닐때는 늘 이런 조난에 대비하여
    간식이나 예비 식량을 단단히 챙겨가지고 다녔었다. 비상 의약품
    셋트도 빠뜨린 적이 없었고...그러다보니 늘 배낭이 무거웠다.
    그래도 그때는 그렇게 다녔었다. 지금은 기강이 해이 해진데다
    초급 산꾼으로 전락한지 오래되어 요령만 늘었다.ㅉ..^^
    먹을건 그래도 여유있게 준비 하지만 다른것들은 대충대충 이다.

    전에도 얘기를 한적이 있지만 혼자 겨울 산행을 하게 된다면 꼭
    아는 사람들에게 미리 알리고 또 입산시 관리 사무소(매표소)에
    신고를 하고 가면 좋을것 이다. 도착 예정 시간에 도착이 안되면
    신고를 부탁하라는 얘기...

    이런 조난을 늘 남의 얘기라 생각하지 말고 나도 언젠가는 산속
    에서 이런 여러 가지 조난에 직면할수 있다는 그런 겸손한 마음
    가짐으로 늘 산행에 임한다면 실제로 그런 조난을 당할 염려는
    별로 없게 될지도 모른다. 이런 조난은 늘 오만한 사람들 에게
    먼저 찾아온다.